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넴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소개

넴은 new economy movement의 약자를 딴 프로젝트이며,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을 개량해 더 성숙해진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보다 효율적이고 단순하고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로 탄생했으며,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은 XEM으로 표기됩니다.

넴은 UtopianFuture라는 사람이 NxT 프로젝트에 영감을 받아서 자바로 쓴 플랫폼입니다. 처음에는 NxT를 포크하려다가 계획을 바꿔 독립적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일본 금융기관들에서 NEM의 매력과 잠재력을 보고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상업용 블록체인인 미진에서 넴을 소프트웨어로 활용 중이고, 테크뷰로사와 드래곤 플라이 핀테크사가 일본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솔루션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인 특징

1. 넴에서 블록을 발행하고 수수료를 얻는 것을 '채굴'이 아닌 '하베스팅(harvesting)'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PoI(proof of Importance)라는 합의 메커니즘은 누가 하베스팅할 수 있는지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계정이 처리하는 거래가 많을수록 네트워크에 의한 중요성이 커지고, 따라서 하베스팅할 수 있는 확률이 상승합니다. 하베스팅의 최소 요건은 10,000 XEM 이상을 보유하는 것입니다. 하베스팅은 local과 delegated로 나뉘어 운영되는데, 이 두 방법에는 시스템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한편, 수수료는 처리된 거래액의 0.01%만큼 받게 됩니다.

2. 넴의 인플레이션율은 0%로, 더 추가 발행되는 코인은 없습니다.

3. 넴은 거래 시 복수의 서명을 해야 하는 다중서명 계정을 지원합니다. 이는 해킹을 비롯한 위험에 대해 보안이 더 강해지는 강점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노드의 자동검증 평판 시스템, 메시지 시스템, 네임스페이스, 모자이크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합니다.

 

 

핵심 가치

(키워드: PoI)

넴이 합의 메커니즘으로 채택한 PoI는 통화보유량과 거래량에 따라 통화가 발행되는 구조로, PoW와 PoS의 문제점들을 해결합니다. PoW는 고가의 채굴 장비가 필요하고, PoS는 사람들이 코인을 보유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다면 통화의 유통과 보급에 진행이 없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PoI에서는 보유량 이외에도 유통 및 보급에 기여해야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하베스팅 결과의 조작 방지를 위해 계정에 기록된 코인의 잔액뿐만 아니라 거래의 활동을 방정식에 포함합니다.

 

넴은 new economy movement의 약자를 딴 프로젝트이며,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을 개량해 더 성숙해진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보다 효율적이고 단순하고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로 탄생했으며,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은 XEM으로 표기됩니다.

넴은 UtopianFuture라는 사람이 NxT 프로젝트에 영감을 받아서 자바로 쓴 플랫폼입니다. 처음에는 NxT를 포크하려다가 계획을 바꿔 독립적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일본 금융기관들에서 NEM의 매력과 잠재력을 보고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상업용 블록체인인 미진에서 넴을 소프트웨어로 활용 중이고, 테크뷰로사와 드래곤 플라이 핀테크사가 일본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솔루션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많은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넴(XEM)코인 블록체인은 최근 CopyRightBank 과의 파트너쉽을 발표하였습니다. 넴(XEM)코인의 블록체인 기술은 CopyrightBank에 권한을 부여하여 저장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블록체인이 분산 되고 분배된 불변의 원장이기 때문입니다. 넴(XEM)코인의 블록체인에서 운영하는 코드는 강력한 암호화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정보의 무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CopyrightBank의 디지털 지문 채취, 타임 스탬프와 기록은 매우 신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시가총액 2.7조원(21.02.05 기준)
웹사이트 nem.io/
백서 nemplatform.com/wp-content/uploads/2020/05/NEM_techRef.pdf
Github github.com/NemProject
트위터 twitter.com/NEMofficial

 

nem의 github에 들어가보겠습니다.

 

30개 정도의 프로젝트가 현재 오픈되어있으며, 2014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noWallet이라는 프로젝트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젝트는 현재 관리가 되고 있지 않는 모습입니다.

 

NanoWallet프로젝트를 1042번의 커밋이 이뤄졌고 ,80개의 이슈처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번의 소스 반영이 이뤄졌네요

 

 

NEM코인은 추가적이 개발보다는 마더코인으로서 어느정도 완성된 코인으로 생각되네요

 

NEM코인은 아주 큰 호재를 가지고 있습니다.

 

nemplatform.com/symbol-migration/

 

NEM to Symbol Migration - NEM

Participate in the launch of Symbol 1 XEM = 1 XEM + 1 XYM after Snapshot In February 2021, NEM is launching the Symbol public blockchain. Here i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migrating your account from NEM NIS1 to Symbol, including Opt-in, Snapshot,

nemplatform.com

2021년 2월중에 AirDrop을 하는 이벤트가 있습니다.

 

AirDrop이란 해당 코인을 홀딩(가지고 있으면) 추가적으로 코인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가상화폐 시장에서 가장 큰 호재로 불립니다.

 

빗썸, 업비트에서 AirDrop을 지원해주기만 하면 엄청난 반등도 예상해볼 수 있겠네요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NEM은 프로젝트를 훓어보니 전반적으로 개발은 2019년쯤 얼추 마무리된 후, 코인의 상용화를 위해 힘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 NEM은 현재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코인은 아니지만 큰 호재를 가지고 있는 코인입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