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페이코인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역사에 남을 떡상을 기록한 페이코인이다.. 이걸 왜 이제서야 리뷰했을까..

 

코인 소개

페이코인(PCI)은 한국의 통합결제 비즈니스 전문기업 다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온/오프라인 결제 가맹점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결제 플랫폼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페이코인은 다날의 20년 노하우가 담긴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여, 높은 수수료율과 느린 정산주기 등 기존 결제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성과로 페이프로토콜은 가맹점 POS(Point of Sale) 시스템의 페이코인 결제를 위한 API와 SDK를 제공하여 CU, 골프존파크, 교보문고, 세븐일레븐, 달콤커피, 도미노피자, SSG PAY, KFC 등 많은 가맹점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이미 실생활에서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 더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중요해보인다. 

(가상화폐가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것은 아직 선례를 찾기 힘들다.)

 

 

2021.02.17일 역사에 남을 엄청난 상승을 했다. (업비트 기준)

 

회사에서 밥먹으러 나갈 때 (310원 - 와 이건 먼데 이렇게 오르냐)

밥 먹고 카페에서 (900원 - 와 먼데 300프로나 오르지)

카페에서 나갈 때 (1700 - 이거 머지?)

 

오늘 아침에 출근 준비하면서 (5300까지 올랐다.. - 미쳤다..)

 

참고로 2월 17일 9시 가격이 190원대였다.

 

페이코인은 현재 앱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다.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페이코인으로 치면 앱이 나온다. 

 

 

 

2월 28일까지 도미노피자 이벤트를 하고 있는데, 이미 시켜먹으신 분은 매우매우매우 비싼 피자를 드시게 된 것이다..

(한판에 4-50만원짜리 피자를 드신거다.. 예전에 비트코인으로 피자 먹었던 분이 떠오른다.)

피자 먹은 사람들 피눈물 ㅠㅠ

* 비트코인 피자 사건 :  이 사건의 주인공은 라스즐로 핸예츠(Laszlo Hanyecz)다. 당시 그는 1만 비트코인(BTC)으로 피자 2판을 구매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약 0.004달러(한화 5원)였던 시절이었다. 피자를 사 먹는 데 5만 원이 쓰인 것이다. 22일 기준 비트코인은 52,224달러(5800만 원)로 약 10000배 급등했다. 지금 시세를 감안하면,  피자 두 판을 사기 위해 581,300,000,000(5813억)을 지불한 셈이다.

 

 

 

개요

총 발행한도 3,941,000,000 (총공급량)
웹사이트 payprotocol.io/index.html
백서 drive.google.com/file/d/1-22606vJi-yx3Up3U7zE5jCGJ4i1Ojgg/view
Github 없다.
트위터 twitter.com/payprotocol

페이코인의 웹사이트에 들어가봅시다.

 

 

 

PayProtocol

카페에서도 편의점에서도 코인으로 페이까지 페이코인은 최초의 상용 결제 암호화폐로서 신규 결제 시장을 이끌어갑니다. 빠르고 간편한 결제 낮은 정산 수수료 결제 이력에 따른 사용자 혜택

payprotocol.io

 

페이코인은 github가 없다. 

 

오픈소스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날핀테크는 본인들이 가진 기술력을 굳이 오픈소스로 공개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사실 실생활에 이렇게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잘 만들었으니, 그 기술력을 굳이 공개할 이유를 못 찾는 것 같다.

 

 

어제 페이코인 앱에 비트코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시에 뜨면서 미친듯한 떡상을 이뤘다.

assets.ctfassets.net/nbz02hpjrwl3/3FouK89V58jEKsKnQhRhna/a8aa301601c409eb92bc603f4d2092bb/PCI_01.pdf

 

 

bitcoin X paycoin의 콜라보가 이루어진 것이다.

 

 

 

호재

페이코인은 따로 호재가 없다. 

 

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코인(이더리움)들이 페이코인으로 전환이 가능해질 것이고, 

 

페이코인으로 결제가 되는 가맹점도 더더욱 넓혀질 것이고, (다날은 쿠팡 내 결제대행(PG) 서비스 점유율 1위 기업)

 

한국에서 가상화폐는 페이코인이 선두에 섰다고 봐도 무방하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페이코인은 오픈소스가 없는 코인입니다.

 

- 페이코인은 한국의 수많은 가맹점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앱을 제작해서, 유저수를 확보한 첫 코인입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 리워드코드 : SACDE6V

 

페이코인 앱 설치 후 회원가입할 때 리워드코드 입력하면 페이코인을 무료로 줍니다.

 

web.payprotocol.io/install/share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메인프레임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메인프레임은 완전히 탈중앙화된 통신으로 신뢰가능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과 메시지 전송을 목표로 합니다.

완벽한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메신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코인입니다.

 

시가총액 1827.5억원(21.02.16 기준)
총 발행한도 10,000,000,000
웹사이트 mainframe.com/
백서 mainframe.com/static/Mainframe-Whitepaper-485f32bbcc4dc9308ec1ee36084757d8.pdf
Github github.com/MainframeHQ
트위터 twitter.com/HifiFinance

메인프레임의 웹사이트에 들어가봅시다.

 

 

Mainframe - Fixed-rate crypto lending

Mainframe is now Hifi Introducing our new visual brand that encompasses our mission of delivering a high fidelity experience to decentralized finance. Head over to hifi.finance to learn more.

mainframe.com

웹사이트 하단에 보시면 github를 표시해주고 있습니다. 

 

이제 github에 접속해서, 개발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ainframe

Fixed-rate borrowing against crypto, giving users instant liquidity to multiply their investment. - Mainframe

github.com

메인허브가 현재 오픈소스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단 2개로 확인되네요

볼 게 없는 메인프레임의 github

 

지금까지 한 모든 가상화폐 리뷰중에서 가장 적은 프로젝트를 가진 코인이네요

 

업데이트가 2020년 7월이 마지막인.. 처참한 상황입니다. 

 

메인프레임은 제가 생각하기엔 프로젝트들을 비공개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아예 개발을 안하진 않겠죠?) 

 

이는 당당하게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개발하는 다른 코인들과 차별점이 있어 보이네요.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게 훨씬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거나 신빙성을 높이는 방법이겠지만요)

 

울며 겨자먹기로, 2가지 프로젝트들 중 그나마 최근에 업데이트가 된 mainframe-os를 살펴보겠습니다.

 

1263번 커밋을 한 이 프로젝트는 작년 7월까지 개발한 흔적이 있네요

 

이슈트래킹을 보면 2019년도 9월까지 활발히 개발된 프로젝트며, 그 이후엔 관리를 안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따로 더 설명드릴 게 없는 수준의 개발현황이네요 (github만 봐서는 죽은 상태입니다.)

 

호재

메인프레임은 하나의 호재를 가지고 있습니다.

 

blog.mainframe.com/mainframerebrand-5cb034c26e42

 

Mainframe is now Hifi

Introducing our new visual brand that encompasses our mission of delivering a high fidelity experience to decentralized finance.

blog.mainframe.com

Hifi로 명칭을 바꾸고 대출 프로토콜을 실행한다고 하는데, 현재 메인프레임의 가치상승에 주된 요인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메인프레임은 오픈소스는 관리하고 있지 않은 코인입니다.

 

- 메인프레임의 최근의 가치상승은 오늘 있었던 호재 Hifi와 관련이 있습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스텔라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최초발행 2014년 7월
시가총액 12.2조원(21.02.16 기준)
총 발행한도 50,001,803,902
합의 프로토콜 스텔라 합의 메커니즘 (독자적)
웹사이트 www.stellar.org/
백서 www.stellar.org/papers/stellar-consensus-protocol
Github github.com/stellar
트위터 twitter.com/StellarOrg

 

 

코인 소개

스텔라 루멘은 스텔라 결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스텔라는 리플 프로토콜에 기초하며,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된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애초에 리플에서 포크되었기 때문에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스텔라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비즈니스모델은 은행, 결제시스템, 그리고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공개되는 공공의 장부, 즉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실제로 리플과 비슷하게 다중통화거래(multi-currency transactions)에서 연결통화로서 기능합니다.

하지만 리플은 영리기업인 리플랩스에서 운영하는 반면, 스텔라는 비영리 단체인 스텔라개발재단에서 담당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은행이나 기업과 같은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리플과 달리, 스텔라는 개인과 금융소외계층을 주요고객으로 합니다.

2014년에 출시 됐을 때, 이 디지털 자산의 이름은 스텔라였는데, 2015년 네트워크가 업데이트되면서 루멘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이는 스텔라 네트워크와 stellar.org라는 비영리 단체와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코인 특징

1. 총공급량인 1,000억 개의 루멘은 초기에 이미 다 발행되었고 앞으로 배포할 일만 남았다고 합니다. 전체의 5%는 stellar.org에 유보되어 운영비용으로 지출될 것이고, 나머지 95%는 다양한 그룹에 배포될 계획입니다. 50%는 루멘을 원하는 개인들, 25%는 은행시스템을 누리지 못하는 인구, 20%는 비트코인 소유자에게 주어집니다. 실제로 루멘은 비트코인 소유자에게 꾸준히 배포되는 중입니다. 이렇게 루멘을 공짜로 사람들에게 배포하는 이유는 폭넓은 디지털 네트워크를 만들어 저비용의 금융서비스로 사람들을 연결하기 위해서입니다. 스텔라의 개발자들은 이것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기본적인 초대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2. 루멘은 매년 1%의 고정된 인플레이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스텔라 네트워크의 내재한 시스템이고, 거래마다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도 인플레이션에 기여합니다. 0.00001이라는 아주 작은 거래 수수료는 DoS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3. 스텔라 네트워크는 PoW나 PoS가 아닌 스텔라 합의 메커니즘(SCP, stellar consensus protocol)이라는 독자적인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는 자신이 누구를 신뢰할지 직접 선택하고 이로부터 형성된 신뢰망을 통해 합의에 도달하는 방식입니다.

 

 

핵심 가치

(키워드: 공익추구, 실시간 결제)

1. 공익추구: 비영리 기업인 스텔라개발재단에서 운영하는 스텔라는 금융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개발도상국들의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춰 발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Praekelt Foundation, Oradian과 같은 다른 비영리 단체들이 스텔라를 통해 필리핀, 인도 서아프리카와 같은 지역들에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스텔라는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의 가치를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한편, 이런 범용적인 서비스 확장을 위해서 리플보다 쉽고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추구합니다.

2. 실시간 결제: 리플과 마찬가지로 실시간 결제(3~5초)가 가능합니다.

 

스텔라의 github에 들어가서 개발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텔라는 총 81개의 프로젝트 (repositories) 를 진행하고 있다. 

 

5개의 프로젝트가 하루안에 업데이트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도 활발히 개발이 진행중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2014년에 만들어진 코인인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되었고, 코어로직이 들어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stellar-core 프로젝트를 면밀히 살펴보자.

 

해당 프로젝트는 총 6653번 커밋되었다. (훌륭한 수치다.)

 

이슈트래킹도 활발히 그리고 라벨을 붙여서 이쁘게 진행되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이슈를 라벨을 붙여서 관리하는 걸 선호한다. (이쁘니까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슈는 178개이고, 마무리된 이슈는 996개나 된다. 


2014년부터 꾸준히 이슈를 잘 처리해왔음을 내력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한달간의 진척률이다. 6명이 68번 커밋하고 64개의 파일을 수정했음을 볼 수 있다.

 

꽤나 많은 개발자가 열심히 협업해서 개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개발현황에 대한 간략한 감상평을 말하자면, 훌륭하다!! 열심히 일하고 있는 코인이다.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16%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stellar&form%5Bsort_by%5D=&form%5Bsubmit%5D=&form%5Bshow_rese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다가오는 스텔라의 호재는 하나다. 

 

* 참고로 스텔라는 리플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코인이다. 즉 실시간 결제가 장점인 코인이다. 

 

타겟으로 하는 대상은 다르지만, 어쨌든 리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코인이며, 리플이 현재 소송때문에 가격의 등락이 큰 점이 알게모르게 스텔라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스텔라는 출시된 지 오래되었지만, 현재도 꾸준히 개발, 발전하고 있는 코인입니다.

 

- 스텔라의 가격은 리플에 영향을 직, 간접적으로 받습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스트라티스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스트라티스는 스트라티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스트라티스 플랫폼은 블록체인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고, 간단히 BAAS (blockchain-as-a-service) 플랫폼이라고 불립니다. 이 플랫폼은 기업이나 기관들이 스트라티스 공개체인(public chain) 위에 비공개체인(private chain)을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개별적인 체인은 사이드체인(side chain)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더리움 플랫폼과 비슷하지만, 스트라티스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기초해 만들어져서 기본적인 구조가 다르고, 스마트 컨트랙트의 방향성과 사용하는 컴퓨터 언어에서도 차별점이 있습니다.

스트라티스 플랫폼은 블록체인이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블록체인 앱 개발 프로세스를 크게 간소화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개발 주기를 가속화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트라티스는 2020년 11월 메인넷 전환에 따라 기존 STRAT에서 STRAX 토큰 스왑을 진행했습니다.

 

* 참고로 메인넷은 토큰 -> 코인으로 가는 것입니다. 

  메인넷은 기존에 존재하는 플랫폼에 종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

  자체 프로토콜인 메인넷을 보유하고 있다면 ‘코인’(이더리움, 퀀텀, 리플, 네오 등), 다른 플랫폼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것을 ‘토큰’(이오스, 트론, 비체인 등)이라고 명칭되어 불러집니다.

 

즉, 스트라티스는 토큰이었는데 2020년 11월 이후 메인넷 전환을 하였고, 이제는 코인입니다.

 

 

시가총액 3282.3억원(21.02.15 기준)
웹사이트 www.stratisplatform.com/
백서 www.stratisplatform.com/files/Stratis_Whitepaper.pdf
Github github.com/stratisproject
트위터 twitter.com/stratisplatform

 

스트라티스는 당당하게 홈페이지에 본인들의 github를 공개하고 있다. 

www.stratisplatform.com/developers/

 

Developers

Stratis is always on the lookout for people who believe in the opportunities blockchain technology provides for the enterprise and beyond. If you want to join us on Stratis’ mission to reshape the future, drop us a message, join our Discord, and/or start

www.stratisplatform.com

github에 들어가서 개발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트라티스는 총 40여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다. 

 

작지 않은 프로젝트 수이고, 업데이트도 3일안에 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개 중 메인이라고 생각되는 StatisFullNode 프로젝트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자.

 

github.com/stratisproject/StratisFullNode

 

stratisproject/StratisFullNode

Contribute to stratisproject/StratisFullNod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해당 소스는 5103번 커밋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총 11개의 열린 이슈와 1개의 닫힌 이슈가 있음을 볼 수 있다. 

 

 

한달동안 꽤나 많은 수정이 일어났다.

 

이슈는 따로 태그는 사용하지 않고 정리되고 있는 모습이다. 

 

쭉 다른 프로젝트들도 살펴본 결과 메인넷이후 많은 프로젝트들이 새로 만들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트라티스는 메인넷으로 토큰 -> 코인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플랫폼 코인으로서 다양한 개발을 현재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15%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stratis&form%5Bsort_by%5D=&form%5Bsubmi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다가오는 스트라티스의 호재는 하나다.

 

www.stratisplatform.com/2021/02/12/interflux-interoperability-ethereum-ropsten-release/

 

InterFlux Interoperability Hub Ethereum Ropsten release - Stratis Platform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at we have now extended the blockchain support for Stratis InterFlux to include Ethereum. Opening the door to many more use-cases for the STRAX token by enabling it to be utilised within DeFi applications including AMM type dec

www.stratisplatform.com

스트라티스의 기술력과 이더리움이 함께 가능하도록 된다는 말로 해석된다. 출시 일정에 대해서도 언급중이다.

즉, 3월 8일로 예정된 Interflux지원 지갑이 출시가 정상적으로 되면, 가치상승의 계기가 될 것이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스트라티스는 코인으로 바뀐 이후, 더욱 더 활발히 기술력을 높이고 있는 코인입니다.

 

- 스트라티스는 다가오는 큰 호재가 있는 코인입니다. (2021년 3월 8일)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샌드박스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샌드박스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인 SAND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게임 내 경험을 만들고 보유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가상 세계 입니다. 플레이어가 디지털 자산(Non-Fulgible Tokes, NFT)을 생성하여 마켓플레이스에 올리고, 드래그 앤 드롭 하여 샌드박스 게임 메이커로 다양한 게임 내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1477.0억원(21.02.14 기준)
총 발행한도  3,000,000,000
웹사이트 www.sandbox.game/en/
백서 installers.sandbox.game/The_Sandbox_Whitepaper_2020.pdf
Github github.com/thesandboxgame
트위터 twitter.com/TheSandboxGame

샌드박스의 github에 들어가봅시다.

 

현재 7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매우 작은 프로젝트 수입니다. 

 

2020년 10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의 내용도 따로 볼 게 없네요

 

아마 주요한 프로젝트들은 비공개로 진행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오픈소스로 공개하지 않고 말이죠 

 

github로 공개한 내용이 많지 않아서 딱히 분석할 내용이 없습니다.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14%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the-sandbox&form%5Bsort_by%5D=&form%5Bsubmi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샌드박스는 총 3개의 호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호재 2개와 올해 말의 큰 호재가 하나 있네요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샌드박스는 github에 공개된 것으로 보았을 땐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가상화폐입니다.

 

- 샌드박스는 블록체인 분상형 게이밍 플랫폼이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에서 본인이 크리에이션으로 코인을 벌 수 있는 독특한 가상화폐입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리플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리플코인은 금융 거래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이자 기초 화폐입니다. 이 코인을 매개로 전 세계의 화폐를 몇 초 내로 송금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실시간 통화 거래가 가능합니다. '리플 프로토콜'이란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RTS)’으로 국제결제시스템망(SWIFT)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송금 시스템에 가까운 특성이 있어 일반적인 디지털 자산과는 그 구조가 다릅니다. 사용하는 합의 프로토콜도 독자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코인들과 다르게 현실적으로 주도권의 집중화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플의 시스템은 한정된 참여자만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의미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리플사는 총량의 62%의 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 개발 단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시장에 유통하고 있습니다. 리플사는 그들이 전체 유통의 반수 이상으로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악용할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암호화를 통해 보호된 조건부 날인 계정(escrow)에 리플을 넣어둔다고 합니다.

 

코인 특징

1. 현재 주로 은행 간 이체서비스에 집중하여 진행 중이며, 리플 네트워크에는 미쓰비시 도쿄UFJ 은행, 스웨덴 SEB, 중동의 아부다비 국립은행과 인도 Axis 은행을 비롯한 세계 주요 금융권 75개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빠른 속도로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상호 송금 거래 규모는 하루 7700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2. 리플은 연결 통화(bridge currency)로 역할 하므로 기존 통화시장과 달리 수요가 적은 희귀통화를 거래하기 쉽습니다. 복잡한 거래 과정이 불필요하고, 추가적인 비용도 지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3. 거래마다 0.0004달러의 수수료를 지급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스팸 공격을 막기 위한 것이며, 매우 적은 액수이므로 기존의 결제시스템보다 비교우위에 있습니다. 또한, 이 수수료는 영원히 소멸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토큰의 가치가 조금씩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4. 인플레이션이 없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화폐 총량이 늘어나는 대부분 가상화폐와 달리, 리플은 초기에 총 1천억 개 발행되었고 이제 더 추가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핵심 가치

(키워드: 환전/송금 거래에 P2P 네트워크의 적용)

P2P 네트워크는 서로 모르는 사람 혹은 은행 간의 외환 거래를 중개하는 다리를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SWIFT와 같은 중개기관이 필요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국제 결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1. 결제 비용 감소: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으므로 수수료를 절약 가능합니다. 특히 환전 시 달러 거래와 달리 은행 계좌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수수료나 추가 운용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리플은 기존 환율보다 훨씬 더 경쟁력 있는 외환 가격을 제공합니다.

2. 실시간 결제: 전 세계 어디든 거래당 4초가 걸리며 즉각적인 정산이 가능합니다. XRP는 연중무휴로 초당 50,000건의 거래를 처리합니다.

 

 

최초발행 2013년 4월
시가총액 25.8조원(21.02.11 기준)
총 발행한도  100,000,000,000
합의 프로토콜 리플프로토콜 합의알고리즘
웹사이트 ripple.com/xrp/
백서 ripple.com/files/ripple_consensus_whitepaper.pdf
Github github.com/ripple
트위터 twitter.com/Ripple

 

리플의 개발현황을 알아봅시다.

github.com/ripple

 

Ripple

Open Source from Ripple, Inc. Ripple has 78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리플은 총 70 여개의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다.

 

가장 최근에 프로젝트는 몇 시간전에 업데이트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xrpl-dev-portal 프로젝트를 한 번 살펴보자

 

17시간전에 소스가 업데이트 된 이 프로젝트는 3597번의 커밋과 68개의 열린 이슈를 가지고 있다.

 

소스정리나 이슈관리는 깔끔한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 

 

활발히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아니다. 

 

한달동안 4개의 파일수정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제일 주력프로젝트로 보이는 rippled 프로젝트는 10000번이 넘는 커밋과 267개의 이슈가 열려있었다.

 

1달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보기 힘든 주력프로젝트다.

 

리플 코인은 현재 활발히 개발하고 있는 코인이라기 보다는 , 상용화에 힘을 쓰고 있는 코인이다.

 

현재 가상화폐 시가총액 4위다. (최근 에이다의 가치 상승으로 3위자리를 내주었다,)

 

호재

 

리플의 호재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플은 다가오는 호재는 딱히 없는 상태이다.

 

이슈

 

리플의 가장 큰 화두는 바로 리플과 SEC의 소송이다.

 

해당 소송의 재판일은 2021년 2월 22일이다.

 

이 소송의 결과가 리플의 가격의 상승 및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joind.io/ico/id/5615

 

전 OCC 청장 "SECㆍ리플 소송, 결국 합의 도달할 것"

2월 9일(현지시간) 브라이언 브룩스 미국 통화감독청(OCC) 전 청장 대행이 코인데스크 TV에 출연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

joind.io

만약 합의에 도달하게 된다면 리플은 저평가된 가상화폐로 볼 수 있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리플은 현재도 활발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현재 리플의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사건은 2월 22일 SEC와의 재판입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에이다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에이다는 금융,다양한 분야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이자 하스켈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축된 최초의 3세대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입니다.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기능에만 충실한 코인이며, 여기에 계약서 작성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더한 것이 2세대인 이더리움입니다. 에이다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헌법을 정하여 해당 틀 안에서 변화를 인정하는 수단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즉 에이다 소유자는 프로토콜 변경 방법, 이해 관계자 의도를 파악하는 방법, 파편화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 등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도출된 합의는 하드포크가 아닌 소프트포크를 통해 이뤄집니다. 즉, 에이다 소유자 의견을 수렴한 투표결과를 소프트포크로 구현하여 민주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블록체인입니다.

에이다는 Ouroboros라는 안전성이 입증된 Stake 프로토콜을 적용하였으며 매우 복잡하며 안전한 하스켈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축되어 향후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더라도 해킹에서 매우 안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에이다는 3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본인을 말하고 있으며, 2017년 가상화폐 시장에서 한국인이 가장 사랑했던 알트코인이었습니다. 

 

 

코인 특징

1. 카르다노는 우로보로스(Ouroboros) 지분증명(PoS)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함수형 언어 하스켈(Haskell) 기반입니다. 이에 보안성을 갖춘 것은 물론, 확정성이 뛰어나 많은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로보로스는 지분증명 방식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소수에 의한 지분 독점을 막기 위해 임의로 대표를 선출합니다.

2. 기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 하드포크가 아닌, 오로지 소프트포크를 통해 업그레이드합니다. 프로토콜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재무 시스템과 효율성·확장성을 염두한 에코시스템이 설계되어 있습니다.

3. 카르다노의 디지털자산인 에이다를 보유·전송하려면 다이달로스 지갑(Daedalus Wallet)을 통해야 합니다. 이 지갑은 암호화된 개인키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멀웨어(malware) 같은 보안 위협으로부터 지갑을 보호하며, 페이퍼 인증서가 가능해 콜드월렛에 넣을 수 있는 보안 옵션을 제공합니다.

4. 카르다노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플랫폼입니다. 모바일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가 되어 로컬에 필요한 파일 서버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상에서 파일 위변조에 대한 자동 검증이 이루어집니다.

 

최초발행 2017년 10월 1일
시가총액 23.7조원(21.02.09 기준)
총 발행한도  45,000,000,000
합의 프로토콜 uroboros
웹사이트 cardano.org/
백서 whitepaperdatabase.com/cardano-ada-whitepaper/
Github github.com/input-output-hk
트위터 twitter.com/Cardano

에이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봅시다. 

 

 

Cardano is a decentralized public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project and is fully open source.

Cardano is a decentralized public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project and is fully open source.

cardano.org

굉장히 신기하게 소스 업데이트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합니다.

cardanoupdates.com/

 

2,515 commits this week - Cardano Updates

Cardano releases and daily development reports at 00:00 (UTC). See commits in real-time.

cardanoupdates.com

 

이는 본인들이 개발하고 있는 것에 굉장히 자신이 있다는 것으로 보이며, 모든 투자자들이 실시간으로 개발자들이 일한 소스에 대해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 들어가서 일일이 살펴보는 것은 사실 투자자들이 하기엔 번거롭죠..)

 

에이다의 개발현황을 알아볼까요?

 

github.com/cardano-foundation

 

Cardano Foundation

Cardano Foundation has 8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에이더의 github에 처음 들어가보면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너무 작으니까요

본인들이 당당히 github 코드 제출 1위라고 말하는 가상화폐이기에 당황스러웠는데, 좀 더 서치해보니 

 

아까 위에 올렸던 실시간 github를 호출하는 웹페이지의 input/output의 tag를 클릭하니 그들이 본인들의 소스를 관리하는 github가 나왔습니다.

 

github.com/input-output-hk

 

Input Output

Input Output has 339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본체는 여기로 보이며, 하스켈이라는 개발자들에게도 다소 생소한 개발언어를 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Nix, Scala 등 최신 개발언어를 사용한다.

 

하스켈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나무위키로 대체하겠다. (아무튼 좋은 개발언어인 듯?)

 

namu.wiki/w/Haskell

 

Haskell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github 코드 제출 1위라고 왜 당당히 말하고 다니는지 알겠다. 프로젝트 수도 360개 가량 정도 되고 굉장히 많이 프로젝트들이 거의 매분/매시간 단위로 업데이트, 커밋되고 있었습니다.

 

당당하게 개발현황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네요 ~

그 와중에서도 메이저로 보이는 cardano-node 프로젝트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

 

3879번의 commit을 했으며, 15시간전에 업데이트가 되었고,

156개의 열린 issue와 이슈처리가 완료된 것이 500여개 있었다. 태그도 깔끔히 사용하고 있고, 댓글로 활발히 소통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근 한달 동안의 해당 프로젝트의 개발 진척률입니다. 215개 파일이 바뀌었고 242번의 커밋이 일어났네요.

 

github를 살펴보고 짧게나마 감상평을 쓰자면, 에이다가 왜 그렇게 유망한지,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사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에이다는 3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당당히 말하고 있으며, 지금가지 리뷰한 코인들 중 처음으로

 

본인들의 개발진척상황을 확인하는 페이지를 제공할만큼 본인들의 기술력과 노력에 자신이 있는 코인으로 보입니다.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10%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cardano&form%5Bsort_by%5D=&form%5Bsubmit%5D=&form%5Bshow_rese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에이다의 공식적인 호재는 하나입니다.

 

cotinetwork.medium.com/cotis-roadmap-2021-s-first-half-ae8f2d8f08fe

 

​COTI’s Roadmap — 2021’s First Half

2020 was a great year for COTI with many achievements, as we have recently reviewed.

cotinetwork.medium.com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에이다는 본인들의 기술과 노력에 자부심이 느껴지는 코인입니다. 예전에 나왔던 코인들은 최근에 개발을 안하고 마케팅이나 실생활에 활용할려고 노력하는 데 비해, 에이다가 많은 개발자들이 꾸준히 계속 개발하여 발전하는 코인입니다.

 

- 에이다의 이런 차별화된 기술력은 가상화폐를 가치투자로 보고 장기투자하는 분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짧게 투자하시는 게 아니라 1년, 2년, 10년을 보고 투자하시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헤데라해시그래프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헤데라해시그래프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공공 분산 원장입니다. 해시그래프 합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헤데라 퍼블릭 네트워크는 분산 원장 기술 분야의 최고 보안등급을 성취하며, 아주 빠른 트랜잭션 속도와 매우 낮은 인터넷 대역폭이 요구됩니다. 헤데라는 높은 처리량과 낮은 수수료 그리고 수초내로 이뤄지는 컨센서스 확정성으로 헤데라는 블록체인을 넘어 현재 타 분산 원장 기술 플랫폼에서는 개발이 불가능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유즈 케이스, 비즈니스 모델 실현을 가능함으로써 공공 원장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헤데라해시그래프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 과학자인 리몬 베어드 박사와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맨스 하몬은 미공군 사관학교에서 함께 재직한 동료이자, Trio Security, BlueWave Security 그리고 Swirlds, Inc를 함께 창업한 바 있으며, 획기적인 기술인 해시그래프의 특허를 획득했습니다.

 

굴지의 기업들이 헤데라의 운영위원회로 참여하고 있다. 

 

시가총액 7487.2억원(21.02.08 기준)
총 발행한도  50,000,000,000
웹사이트 hedera.com/
백서 hedera.com/hh-whitepaper-v2.0-17Sep19.pdf
Github github.com/hashgraph
트위터 twitter.com/hedera

헤데라해시그래프의 github에 들어가보자.

지금이 화요일 아침인데도 불구하고 1시간도 되기 전에 업데이트가 된 소스가 눈에 뛴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깔끔한 작명센스

 

프로젝트명만 봐도 이 프로젝트가 sdk인지, js인지, doc(문서)인지, 지갑프로젝트인지 ,서비스인지 알도록 해 놓았다. 

 

활발히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헤데라 서비스 프로젝트를 자세히 보자.

 

3822번의 커밋을 했음을 알 수 있다. 

 

234개의 이슈를 트래킹 중이고, 이슈트래킹이 다른 어떤 코인들보다 많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모습이다.

 

415개의 issue는 닫혔다. 

 

 

그리고 이슈에 태그를 달아서 이슈의 종류를 구분한 것도 가독성이 좋아보이는 것 중 하나다.

 

* 참고로, 이슈는 개발자들끼리 개발하다가 문제가 있거나, 논의가 필요할 떄 올리는 것이다. 현재 오픈되있는 이슈보다 

 

닫혀있는 이슈가 많은 것도 좋은 것이다. 그만큼 서로 협의하고 논의하면서 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다는 증거니까..

 

 

한달동안의 진척률도 보도록하자 !

 

378개의 파일이 바뀌고 이슈를 62개를 클로즈 시켰고 새 이슈가 21개이며, 불과 한달동안 많은 개발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현재도 개발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고 여태 리뷰한 코인 중에 가장 소스 정리가 깔끔하다.

 

호재

 

헤데라해시그래프의 호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09%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hedera-hashgraph&form%5Bsort_by%5D=&form%5Bsubmi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헤데라해시그래프는 총 7가지 호재가 등록되 있으며, 모든 호재가 3월 31일에 집중되어있다. 

꾸준한 우상향을 기대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twitter.com/barhbarian/status/1358877197117882369?s=28

 

Coinman the HBARbarian on Twitter

“$HBAR is tied to the @GetCoinZoom Visa card, creating a premier fiat off ramp for the entire @hedera ecosystem. #HBAR holders will be able to spend the currency on the CoinZoom Visa card at over 53M merchants globally, and any ATM that accepts Visa. htt

twitter.com

비자카드에서 해데라해시그래프를 지원하도록 한다는 트위터가 금일 떴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헤데라해시그래프는 지금까지 본 어떤 코인들보다 프로젝트 관리가 깔끔하고, 또 개발자들이 열심히 개발하고 있으며, 해외 굴지의 기업과 국내 기업인 LG가 지원하고 있는 전도유망한 코인입니다.

 

-  헤데라해시그래프는 금년 3월까지 많은 개발을 이룰려고 하고 있으며, 이는 호재로 작용됩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퀀텀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퀀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각각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입니다. 퀀텀의 핵심 기술은 Account Abstraction Layer로, 이는 비트코인의 결제 시스템(UTXO)과 이더리움 버츄얼 머신(EVM)을 연결합니다. 원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결제를 처리하는 방식이 달라 호환이 어려운데, 퀀텀은 이를 해결해 하이브리드를 만드는 데에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퀀텀은 안정성과 확장성이라는 가치를 모두 담을 수 있다고 합니다. 퀀텀 토큰은 이 플랫폼의 탈 중앙화앱(DAPP)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연료로 쓰입니다.

비즈니스 친화적인 블록체인을 추구하는 퀀텀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금융업, 제조업, 모바일 텔레콤을 비롯한 여러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DAPP들을 간편하게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퀀텀은 현존하는 이더리움 컨트랙트와 비트코인 게이트웨이 모두와 호환 가능합니다. 이런 점은 퀀텀이 다양한 시장에 적용될 수 있는 빠르고 유연한 블록체인을 만드는 기반이 됩니다.

 

 

코인 특징

1. 퀀텀은 이더리움의 Account 모델이 아닌 비트코인의 UTXO 모델을 EVM과 결합함으로써, UTXO모델의 여러 장점을 취합니다. UTXO는 거래를 검증하는 게 더 간편하고, 7년이 넘는 기간 동안 비트코인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안정성과 보안이 증명되었다고 합니다.

2. 퀀텀에서는 이더리움 플랫폼에서처럼 스마트 컨트랙트가 사용되며, 기업들은 고유 토큰을 만들고 블록체인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주로 쓰는 계약들을 쉽게 스마트 컨트랙트로 치환되게 하고, 산업별 특성에 맞춘 계약 양식을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가 다양한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합니다.

3. 비트코인의 UTXO모델 위에서 퀀텀의 코드가 사용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라이트 월렛에서 사용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이 라이트 월렛은 모든 모바일 기기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DAPP들도 모바일에서 이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4. 퀀텀토큰은 최대발행량의 51%가 ICO로 분배되었고, 20%는 개발자들에게, 나머지 29%는 플랫폼의 발전을 위해 남겨질 것입니다. 4년 후, 유보된 코인들은 모두 사용되어 커뮤니티에 환원될 것이라고 합니다. PoS이기 때문에 매년 1%씩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최초발행 2017년 3월
시가총액 4587.5억원(21.02.08 기준)
총 발행한도  107,822,406
합의 프로토콜 PoS
웹사이트 qtum.org/en
백서 old.qtum.org/user/pages/03.tech/01.white-papers/Qtum%20Whitepaper.pdf
Github github.com/qtumproject
트위터 twitter.com/qtum

 

퀀텀의 github에 들어가서 개발상황을 알아보자.

 

프로젝트의 개수는 120개정도가 되며 

2일전까지 개발이 update가 된 것과 나머지 프로젝트들도 한달내에 개발을 진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말에는 쉬나보다 월요일이니까..)

 

제일 메인이 될 것으로 보이는 qtumproject의 commit수는 무려 27446회다. 

 

지금까지 본 어떤 프로젝트보다 많은 커밋수!

 

그리고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branch중 blocktime이라는 이름의 브런치가 많이 보이는데..

 

 

이게 아마 뒤에 있을 호재와 연관이 있을 확률이 커보인다. (qtum의 호재는 에어드랍이기 때문)

 

* branch는 소스의 갈래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원 소스가 있고 특정 개발을 하나의 branch로 한 뒤 다시 통합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당.

 

 

전반적으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된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개발 스타일이 branch로  개발을 많이 하는 타입이다보니 원소스의 변경은 많지는 않아보였다. 

 

그래도 아예 방치하고 있는 느낌을 주지 않는 퀀텀의 github의 모습이다.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08%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qtum&form%5Bsort_by%5D=&form%5Bsubmi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현재 기준 가장 가까이 큰 호재가 있는 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큰 호재는 역시 airdrop이다.

 

qtum.or.kr/news/1998130

 

Qiswap 에어드랍 안내 - 뉴스 - QTUM :: 한국 퀀텀 커뮤니티

Qiswap 팀에서 에어드랍과 관련된 소식을 공개하여 이와 관련된 안내를 드립니다. *주의: Qiswap 팀은 퀀텀 재단에서 독립된 팀으로 Qiswap 운영과 관련된 모든 권한과 책임은 Qiswap 팀에 있음을 알려

qtum.or.kr

가상화폐 시장에서 가장 큰 호재가 에어드랍인만큼 업비트에서 꾸준히 우상향그래프를 보이고 있다.

 

과연 업비트와 빗썸에서 스냅샷을 지원해줄 지가 퀀텀 홀더들의 최대의 관심사일 것이다.

 

만약 지원이 확정될 경우(공시가 뜰 경우) 엄청난 반등을 예측해봅니다.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퀀텀은 활발히 개발이 진행된다고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개발 및 관리를 하고 있는 코인으로 보입니다. 

 

- 퀀텀은 현재 가상화폐 시장에 있는 코인들 중 가장 빠른 시일내에 큰 호재가 있는 코인입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번에 다뤄볼 코인은 폴카닷입니다. 
해당 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해당 코인 개발사의 현재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코인 소개

폴카닷(DOT)은 이더리움의 공동 초기 개발자 개빈 우드(Gavin Wood)가 고안한 디지털 자산으로,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프로젝트입니다.

DOT는 네트워크를 뛰어넘는 거버넌스(Governace), 스테이킹(Staking), 본딩(Bonding)의 명확한 목적을 제공합니다.

 

기본정보

 

시가총액 20.9조원(21.02.07 기준)
총 발행한도 987,964,778 (총공급량)
웹사이트 https://polkadot.network/
백서 PolkaDotPaper.pdf
Github github.com/paritytech
트위터 twitter.com/Polkadot

 

 

폴카닷은 만든 paritytech의 github에 들어가봅시다.

 

 

프로젝트 수가 300가지가 넘네요

 

지금 당장도 개발을 멈추지않고 일하고 있는 update 현황과 커밋수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초록색 선그래프가 개발하고 있는 정도로 보시면 편합니다.)

 

가장 주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polkadot 프로젝트에 들어가보겠습니다.

 

Rust로 개발되고 있으며, 1573의 커밋과 181가지의 열린 issue가 있으며, 492가지의 issue는 처리되어 close된 상태입니다.  pull/request도 37회로 되어있네요(소스반영)

 

이슈트래킹과 개발을 현재도 꾸준히 열심히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로 보입니다.

 

최근 한달동안의 프로젝트 진척률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잘 관리되고 있는 프로젝트여서 볼 게 많습니다.)

 프로젝트의 가담하고 있는 개발자들이 열정적으로 일하고 있음이 보이네요

 

호재

coinmarketcal.com/en/?form%5Bdate_range%5D=07%2F02%2F2021+-+01%2F08%2F2024&form%5Bkeyword%5D=&form%5Bcoin%5D%5B%5D=polkadot-new&form%5Bsort_by%5D=&form%5Bsubmit%5D=

 

CoinMarketCal - Cryptocurrency Calendar

CoinMarketCal is the leading economic calendar for reliable cryptocurrency news. It covers all events that help crypto traders make better decisions.

coinmarketcal.com

총 3가지의 호재를 가지고 있네요

 

전망

 

- 업비트에서 구매가 가능한 많은 코인들이 github에서 오픈소스를 보면 프로젝트도 관리조차 안되는 코인도 많습니다.

 

- 폴카닷은 지금까지 본 다른 어떤 코인보다도 가장 잘 관리되고 현재 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는 코인입니다. 

 

- 폴카닷은 꾸준히 가격이 우상향으로 성장했는데, 오픈소스 관리와 github를 보며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 가상화폐의 가격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으며, 투자는 오로지 본인의 책임입니다. 참고자료로 봐주시면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